오늘은 교회 절기로는 종려주일이며 고난주일이라고도 합니다. 2천 년 전에 예수님께서 유월절을 지키기 위해서 예루살렘 성으로 입성하실 때에 수 많은 군중들이 ‘호산나 호산나 다윗의 자손이여 찬송하리로다’하며 종려가지를 꺽어 흔들며 환영했습니다. 예수님은 3년 동안 하늘의 복음을 가르쳤고, 병든자를 고치시고 소외된 자들과 함께하심으로 어느덧 유명 인사가 되었던 것입니다. 그렇게 환영받든 예수님을 기억하며 우리는 이 날을 종려주일로 지키는 것입니다.
이때가 유월절이었기 때문에 세상에 흩어졌던 모든 유대인들이 예루살렘 성안, 예루살렘 성전으로 모여든 때였습니다. 그러니 그 인파가 얼마나 많았겠습니까! 그러나 그 열렬했던 환영이 단 일 주일도 지나지 않아서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으라는 저주의 함성으로 변해버리고 말았습니다.
우리가 ‘본디오 빌라도에게 고난을 받으사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시고’라는 사도신경을 고백하면서 늘 예수의 죽음은 빌라도에게 있음을 고백하고 있습니다. 유대교의 종교지도자들, 군중들, 그리고 빌라도 그들은 모두 그렇게 죄 없는 예수를 십자가에 달아 죽였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그 주님의 고난을 기억하면서 또한 이 한 주간을 고난주간으로 지킵니다.
특별히 2025년은 모든 면에서 유난히 불안하고 불안정하게 흘러가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사정이나 미국이나 그리고 미국에서 시작된 ‘관세’ 전쟁은 전 세계를 혼란속에 빠뜨리고 말았습니다. 이러한 혼란의 시기에 주님께서 당하신 고난을 기억하시면서 말씀과 찬양과 기도로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예수를 통하여 허락하시는 구원의 참된 기쁨을 누리시기를 축복합니다.
“Palm/Passion Sunday”
Today, in the church calendar, is Palm Sunday, which is also known as Passion Sunday. Two thousand years ago, when Jesus entered the city of Jerusalem to celebrate the Passover, a large crowd welcomed Him, waving palm branches and shouting, “Hosanna, Hosanna! Blessed is he who comes in the name of the Lord, the Son of David!” Jesus had become a well-known figure by then, having spent three years teaching the gospel of heaven, healing the sick, and spending time with the marginalized. We observe this day as Palm Sunday in remembrance of how warmly Jesus was received.
Since it was the time of the Passover, Jews from all over the world had gathered in the city of Jerusalem, particularly around the temple. Imagine how massive the crowd must have been! Yet, that enthusiastic welcome turned into cries of condemnation within a single week—shouts to crucify Jesus. When we recite the Apostles’ Creed, we say, “suffered under Pontius Pilate, was crucified, died, and was buried,” acknowledging that Jesus’ suffering was under Pilate’s authority. The religious leaders of Judaism, the crowd, and Pilate all took part in crucifying the innocent Jesus. And so, we observe this week as Passion Week, remembering the suffering of our Lord.
In particular, the year 2025 has been marked by unusual anxiety and instability in many aspects. Whether in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or elsewhere, the global trade war sparked by U.S. tariffs has plunged the world into confusion. In this time of turmoil, I pray that as you reflect on the suffering of the Lord, you will experience the true joy of salvation that God grants through Christ Jesus—through His Word, praise, and prayer.